728x90
■ 삼차방정식 한 허근의 성질
삼차방정식 의 한
허근을
라 할
때
의 성질을
알아보자.
방정식 을 인수분해하면
이다.
이때, x=1인 실근 하나와
에서
두 허근은 을 갖는다.
이 허근중 하나를 라 하고
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성질을 만들어진다. (
는
의 켤레복소수이므로
이차방정식의 근이 된다.)
를 방정식에
대입하거나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면 성질을 알 수 있다.
1. 의 허근의
성질 (단,
는
의 켤레복소수)
삼차방정식 의 한
허근을
라 하면 ( 실제
의 한
근이
임)
(1) (
,
는 삼차방정식
의 근)
(2) (
는 이차방정식
의 근)
(3) (
는 이차방정식
의 근)
(4) ( 이차방정식
의 근과
계수의 관계)
(5) (
의 변형)
(6) (n은 자연수) (
)
2. 의 허근의
성질 (단,
는
의 켤레복소수)
삼차방정식 의 한
허근을
라 하면 ( 실제
의 한
근이
임)
(1) (
,
는 삼차방정식
의 근)
(2) (
는 이차방정식
의 근)
(3) (
는 이차방정식
의 근)
(4) ( 이차방정식
의 근과
계수의 관계)
(5) (
의 변형)
(6) (
)
※ 와
을 이용하여 생각하면 복잡한 식을 간단히 하여 해결할 수 있다.
반응형
'수학교과실 > 수학(상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정방정식 (0) | 2021.01.14 |
---|---|
연립방정식 (0) | 2021.01.14 |
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의 관계 (0) | 2021.01.14 |
고차방정식의 해법(삼차, 사차방정식의 해법) (0) | 2021.01.14 |
이차함수의 최대, 최소 (0) | 2021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