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■ 정적분의 정의
함수 가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일 때, 곡선
와 x축 및 두 직선 x=a, x=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구하면
닫힌 구간 [a, b]를 n등분하여 양 끝점과 각 등분점을 차례로
이라 하고, 각 소구간의 길이를 라고 하면
이다.
이때 그림과 같이 각 사각형 구간의 오른쪽 끝에서의 함숫값을 높이로 하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이라고 하면
이다.
여기서 함수 는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이므로
이면
은 구하는 도형의 넓이 S에 한없이 가까워진다.
일반적으로 함수 가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이면
가 항상
존재함이 알려져 있다.
이때 이 극한값을 함수 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하고, 기호로
와 같이
나타낸다.
이때 의 값을 구하는 것을 함수
를 a에서 b까지 적분한다고 하고, a를 아래끝, b를 위끝이라고 한다.
따라서 이상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정적분을 정의한다.
함수 가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일 때
정적분의 기본정리는 다음과 같다.
닫힌
구간 [a, b]에서 연속인 함수 의 부정적분 중의 하나를
라고 하면
그래프로 둘러싸인 넓이를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없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함수가 주어졌을 때 정적분의 기본정리를 통하여 쉽게 면적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
반응형
'수학교과실 > 수학I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좌극한과 우극한 (0) | 2021.01.21 |
---|---|
함수의 수렴과 발산 (0) | 2021.01.21 |
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일반항 구하기 (0) | 2020.04.21 |
두 곡선의 공통인 접선 (0) | 2020.01.06 |
연속과 미분가능성의 관계 (1) | 2019.10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