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학교과실/수학II / / 2019. 10. 22. 19:13

정적분의 정의

728x90

■ 정적분의 정의

 

함수 가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일 때, 곡선  x축 및 두 직선 x=a, x=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구하면


닫힌 구간 [a, b] n등분하여 양 끝점과 각 등분점을 차례로

이라 하고, 각 소구간의 길이를 라고 하면


이다


이때 그림과 같이 각 사각형 구간의 오른쪽 끝에서의 함숫값을 높이로 하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 이라고 하면


이다.


여기서 함수 는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이므로 이면 은 구하는 도형의 넓이 S에 한없이 가까워진다.

일반적으로 함수 가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이면


가 항상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.


이때 이 극한값을 함수 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하고, 기호로


와 같이 나타낸다.

 

이때 의 값을 구하는 것을 함수  a에서 b까지 적분한다고 하고, a아래끝, b위끝이라고 한다.

 

따라서 이상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정적분을 정의한다.

함수 가 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일 때

 

정적분의 기본정리는 다음과 같다.

닫힌 구간 [a, b]에서 연속인 함수 의 부정적분 중의 하나를 라고 하면


그래프로 둘러싸인 넓이를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없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함수가 주어졌을 때 정적분의 기본정리를 통하여 쉽게 면적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


적분이란 무엇인가?

이차함수의 편리한 정적분(면적)

적분법 마인드맵

미분이란 무엇인가?

연속과 미분가능성의 관계



반응형

'수학교과실 > 수학I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좌극한과 우극한  (0) 2021.01.21
함수의 수렴과 발산  (0) 2021.01.21
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일반항 구하기  (0) 2020.04.21
두 곡선의 공통인 접선  (0) 2020.01.06
연속과 미분가능성의 관계  (1) 2019.10.22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