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학교과실/수학(하)
부분집합의 개수
■ 부분집합의 개수 1. 집합의 원소의 개수 집합 A의 원소가 유한개일 때,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를 n(A)로 나타낸다. ※ n(A)에서 n은 개수를 뜻하는 ‘number’의 첫 글자이다. A={1,2,3,4,5}일 때, n(A)=5 공집합 ∅에 대하여 n(∅)=0이다. 2. 부분집합의 개수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따라 부분집합의 개수는 일정한 규칙을 갖는다. 그러므로 직접 다 구해 보지 않고도 그 개수를 구할 수 있다. 집합 A={1, 2, 3, 4, …, n}일 때 (1) A의 부분집합의 개수 = (2) A의 진부분집합의 개수 = (3) A의 특정한 원소 p개를 반드시 포함하는 (혹은 포함하지 않는) 부분집합의 개수 = ▶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경우 특정한 원소를 제외하고 부분집합을..
2021. 7. 21. 13:43